[다람쥐 창고] 프로젝트 기획
졸업 프로젝트로 진행했던 다람쥐 창고 프로젝트에 관한 내용을 기록으로 남겨두려고 한다.
어떤 의도로 기획하게 되었는지, 어떤 단계로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는지가 주 내용이 될 것 같다.
(1) 기획 의도
프로젝트 주제를 두고 아이디어 회의를 하다가 P2P 공유 서비스를 기획해보자는 의견이 나왔고 이를 발전시켜서 취미 물품을 지역 기반으로 공유하는 플랫폼을 고안하게 되었다.
여러 취미 활동들 중에 별다른 도구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취미를 위한 도구들이 필요하다.
하지만 어떤 취미를 시작하기 위해 모든 도구를 갖추고 시작하기란 쉽지 않기 때문에 이를 지역 주민들끼리 공유하도록 하는 것이다.
프로젝트 이름은 집 한켠에 잠들어있는 취미 물품을 다람쥐가 겨울을 위해 저장해뒀다가 잊어버린 식량으로 비유하고, 그 식량들이 저장된 곳을 의미하는 다람쥐 창고로 짓게 되었다.
서비스를 구현할 플랫폼은 다양한 기능을 담기 위해 안드로이드 앱으로 정했고, 회의는 코로나19 시국으로 인해 비대면으로 진행되었으며 기획 단계에서는 주 2회, 구현 단계에서는 주 1회 진행했다.
(2) 필요한 기능 설계
이렇게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나서는 필요한 기능들을 생각해보았다.
먼저, P2P 서비스인 만큼 사용자 관리를 위해서 회원가입과 로그인이 필요했다.
다음으로는 서비스가 처음으로 시작되는 메인 페이지에서 등록한 물품들을 조회할 수 있도록 했고, 물품을 등록하는 글쓰기 기능이 필요했다.
또한 사용자 간에 대여를 위해 원활한 소통을 위한 채팅 기능이 필요했다.
이렇게 큰 틀을 잡고 난 이후에는 추가적으로 필요한 기능이 없을까 생각을 해보았다.
지역 주민들끼리 물품을 공유하는만큼 내 주위에 어떤 물품들이 등록되어 있는지 지도로 볼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고, 대여하는 사람과 대여받는 사람 모두를 위해 확실한 대여/반납 확인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또한 취미 물품을 공유하는 플랫폼인 만큼 내가 관심있어 하는 카테고리나 물품을 쉽게 볼 수 있도록 하는 추천 서비스와 물건을 대여하는 사람이 불안하지 않도록 물건에 대한 보증금과 대여료를 설정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언급한 내용 외에도 여러 추가적인 내용들이 더 있지만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기능은 위와 같다.
이후 추가적으로 회의를 거친 결과 크게 회원가입/로그인, 메인페이지, 글쓰기 및 대여, 채팅 담당으로 나눠졌고,
나는 그 중에서 메인페이지 기능을 맡게 되었다.
메인페이지에 포함된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가장 처음에 만나게 되는 페이지인 만큼 다른 페이지들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등록된 물품들의 조회와 검색을 제공하며, 주변 물품을 볼 수 있는 지도와,
관심있는 물품들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추천 서비스를 메인페이지에 구현하기로 하였다.
(3) UI 구상
서비스에 필요한 기능들을 정하고 난 이후에는 팀원들이 모두 참여하여 UI를 구상했다.
각자가 생각하는 UI를 간단하게 만들어보고 (디자인을 할 수 있는 팀원이 없어서 각자의 생각을 PPT로 구현했다.) 회의를 통해 각 장점들을 모아 최종 UI를 선정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최종 UI가 선정된 후에는 세부적인 UI 내용을 설정했다. 사용할 색, 폰트, 객체의 크기, 객체 간 간격 등을 회의를 통해 정했다.
이렇게 해서 기획이 모두 끝나고 나서는 각자가 맡은 담당에서 UI 구현과 기능 구현을 시작했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UI를 구현했던 과정을 담아보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