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터디/Web

[GCP]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서버 구축하기 (1) - 인스턴스 생성

sollllllll 2022. 3. 2. 00:00

프로젝트 개발이 모두 끝난 후 그 프로젝트의 마지막 단계는 단연코 서버에 올려서 잘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것일 것이다.

마침 얼마 전에 프로젝트 개발이 모두 끝나서 서버에 올려보려는 중인데 여러 서버 플랫폼이 있지만,

GCP가 무료 체험판 등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들이 있어서 우리는 Google Cloud Platform(이하 GCP)를 이용해서 서버에 올려보려고 한다.

 

 

 

먼저 GCP 콘솔에 접속한다.

https://console.cloud.google.com/

 

 

그 다음으로는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혹시 이미 프로젝트를 만들어서 대시보드가 뜬다면 상단의 프로젝트 이름을 클릭해 뜨는 창에 프로젝트를 만들 수 있는 버튼이 있다.

새 프로젝트 클릭

 

 

프로젝트 이름과 위치를 설정하고 '만들기' 버튼을 클릭한다.

 

 

프로젝트가 생성되면 이렇게 대시보드 창을 볼 수 있다.

프로젝트 대시보드

 

 

 

 

우리는 웹페이지 서버를 만들 것이기 때문에 그 다음으로는 VM 인스턴스를 생성해야 한다.

 

왼쪽 상단의 탐색 창을 열고 Compute Engine > VM 인스턴스를 클릭한다.

 

 

아마 위 버튼을 누르면 이전에 사용한 기록이 없을 경우 결제 계정을 만들라고 하는데 하라는대로 결제 계정을 만든다.

처음 만든 경우엔 무료 체험판이 자동으로 시작되고, 그게 아니어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옵션이 있다.

무료 체험판인 경우, 상단에 '무료 평가판 상태: 크레딧은 ₩360,791.00, 무료 평가판 기간은 90일 남았습니다.' 라는 메세지가 뜬다.

위의 한도 내에서 무료로 GCP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고 체험판이 끝나도 계정을 직접 유료 계정으로 업그레이드 하지 않으면 문제가 없다.

 

 

아무튼, 결제 계정을 만들고 위의 버튼을 클릭하면 이런 창이 뜬다. '사용' 버튼을 클릭한다.

세부정보를 확인해보니 유형은 SaaS & APIs 라고 하고, 서비스 이름은 compute.googleapis.com 이라고 한다.

 

 

버튼을 누르고 조금 기다리면 이런 창이 띄워진다.

여기에서 상단이나 하단의 '인스턴스 만들기' 버튼을 클릭한다.

 

 

 

 

그러면 이런 창이 뜨게 되고, 여기서부터 이제 무료 등급 조건을 잘 확인하며 인스턴스를 만들면 된다.

무료 등급 확인은 > 이 링크 < 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무료 등급 조건

 

 

무료 등급 조건을 확인하며 인스턴스 설정은 이렇게 해보았다.

인스턴스를 설정하면 예상 비용이 오른쪽처럼 뜨는데 여기에서는 무료로 뜨지 않는다.

다만 무료 체험판을 사용하는 경우엔 아래 화살표처럼 남아있는 무료 크레딧 문구가 나타난다.

이렇게 뜨는 이유는 > 이 링크 < 를 확인해보니 구글 정책이 시간당 비용 청구로 바뀌면서 이렇게 뜨는 것 같다.

나도 아직 인스턴스를 막 생성한 단계라서 정확하게는 모르겠지만 사용해보고 결제 보고서를 확인해보면 알게 되겠지...

 

 

 

이렇게 인스턴스 설정을 모두 마치고 인스턴스 생성까지 완료했다!

다음 단계를 진행하면 이후에 또 포스팅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