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ARRR 기법은 그로스 해킹(Growth Hacking) 의 분석 기법이다. 그로스 해킹은 기업의 성장을 최우선으로 하며, 사용자의 데이터를 분석해 서비스를 개선하는 데에 활용하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게 되었다.
다섯 단어의 앞 글자를 땄으며 각각 Acquisition(획득), Activation(활동), Retention(재방문), Referral(공유), Revenue(수익) 이다. 사용자가 서비스를 활용하면서 수집되는 여러 데이터 중 위 다섯가지의 지표를 핵심으로 서비스의 성장에 활용한다. 다섯 개의 지표를 순차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 분석해야 한다.
(1) Acquisition
획득 단계에서는 소비자가 서비스를 어떻게 알게 되었는지, 어떤 경로로 유입되었는지 등을 분석한다.
DAU, MAU, 신규 사용자, 앱 다운로드 등의 지표를 활용하며 마케팅을 할 때 참고할 수 있다.
(2) Activation
활동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서비스를 얼마나 활용하는지, 어떤 서비스를 활용하는지를 분석한다.
이탈률, 체류시간, 페이지뷰, 회원가입 등의 지표를 사용하며 이 데이터를 통해 서비스의 개선점을 파악할 수 있다.
(3) Retention재방문 단계에서는 유입된 후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얼마나 많은지 등을 분석한다.재방문 사용자 비율을 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
(4) Referral공유, 추천단계라고도 한다. 서비스에 만족하며 계속 사용하는 사용자가 다른 사람에게 얼마나 공유하는지를 분석한다.SNS 공유 수, 추천 가입률 등을 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
(5) Revenue서비스가 장기적으로 유지되려면 결국 수입이 있어야 한다. 최종 목표를 달성했는지 확인하는 단계이며 매출이나 리드 확보 등이 최종 목표가 될 수 있고 전환율 등을 지표로 사용한다.
이렇게 데이터들을 분석해 기업의 성장 자산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단순히 데이터를 분석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방향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 알게 되어 흥미로웠다.
'스터디 > Data Analy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Hadoop] 맵리듀스 - 분산 데이터 처리 프레임워크 (0) | 2022.02.26 |
---|---|
[PySpark] Jupyter Notebook에서 PySpark 사용하기 (0) | 2022.02.25 |
[Hadoop] YARN - 리소스 관리자와 스케줄러 (0) | 2022.02.24 |
[Hadoop] 하둡 설치하고 확인해보기 (0) | 2022.02.23 |
[Spark] 스파크 설치하고 csv 파일 불러오기 (0) | 2022.02.15 |